윈도우 10 뿐만 아니라 7, 8 모두 해당되는 내용임.이거 찾는다고 삽질x10000인터넷 뒤져서 나오는 공유폴더 속성 설정 이것저것 다해봐도 자꾸만 자격증명 암호 입력하라고...도대체 무슨 암호를 쓰라는건지... 설정 분명히 다 했는데도 자꾸 안될때 완벽한 원큐 해결방법!!! 공유폴더 속성에서 보안탭에 '추가' 누르고 선택할 개체 이름에 "Everyone" 라고 입력하고 확인. 그리고 Everyone 의 권한에 주고싶은 권한만큼 체크해주면 끝.
예전에 해적판 크랙인증을 했었던 윈도우7인데... 언제부턴가 무슨일인지 인증이 풀리고 어떤 크랙을 써도 인증이 안되는 상태가 되어버렸다. 재설치 하려고 마음먹고 있었으나 프로그램 재설치가 감당이 안되서 차일피일 미루면서 못하고 있었는데.. 정품인증 경고창과 검은 바탕화면이 너무나도 짜증나서 이번에 윈도우 10으로 업그레이드 했다. 포맷이나 앱삭제 없이 기존 상태 유지 하면서 업그레이드만 하면서 정품인증까지. 방법 검색할 것도 없음. 그냥 공식 마소 사이트에서 순서대로 진행하면됨. 기존 윈도우7과 같은 버젼(home, pro, enterprise 등)으로 업그레이드 하면 USB도 필요없고 설치된 프로그램이나 파일도 그대로 유지된다. 덤으로 인증되지 않던 해적판의 정품인증까지... 제품키는 구글링을 통해..
노트북 성능 파악및 업그레이드를 위해 모델명 LG15N53로 사양을 검색해 봤는데... A/S 업체글만 잔뜩 나오고 스펙을 정확히 알수가 없었다. 4-5년 밖에 안된 제품임에도 벌써부터 찾기 힘들어 몇년 더 지나면 자료가 거의 없어질 것 같아서 정리할 겸 직접 프로그램 돌려서 사양 파악 하고 업그레이드 견적을 내봤다... 일단 외관상 알수 있는건 i5 CPU이며 Geforce그래픽이라는거 정도... CPU : 하스웰(4세대) i5-4200M 노트북용 CPU rPGA소켓은 CPU 교체 가능. i3~i7(4세대 하스웰) 끼리 호환 가능. 참고로 내 데스크탑은 린필드(1세대) i5-750 이다.. 쿼드코어에 기본클럭 2.66GHz로 알고 있는데.. 인터넷이나 동영상 등 일반적인 사용시 체감 속도는 4세대인 노..
구형 넷북 NAS(xpenology) 구축 완료결론 : DS3615xs DSM 6.1.7-15284 설치 성공.넷북 : 삼성sens NF210(2010) / intel Atom CPU N550@1.5Ghz / RAM 1Gb / HDD 250Gb 결론은 간단하지만 돌아온 길은 길었음..설치과정은 여기저기 잘 나와 있으니... 다음에 참고하기 위해.. 또는 다른분들이 참고할 수 있도록 발자취만 남겨본다.처음이라 선택하기 애매한 것들은 어짜피 또 다시 밀고 재설치 해야될테니까 처음 한두번은 아무거나 정하면 됨.재설치 과정이 반복될 수록 당연하게 선택할 수 있으니 찾아가면서 3~4번 설치하면 해결. 일단 설치가 성공한 것들 목록은 우분투 서버 18.4 LTS 64bit (32bit는 실패)Debian 9 최소설..
구형 넷북을 재활용 하기 위한 여러가지 생각들을 정리해 본다..집에 현재 사용중인 장비 : 데스크탑(i5, win7), 노트북(i5, win7), NAS(구형LG 1T), 아이패드프로, 아이폰등..집에 없는건.... 안드로이드와 리눅스 시스템.... 재활용할 넷북 사양 : 삼성sens NF210(2010.12 version)intel Atom CPU N550@1.5Ghz (64bit 지원)RAM 1GbHDD 250Gb 고려 가능한 선택지 :1. 안드로이드 OS2. 리눅스계열 OS3. NAS4. 에뮬레이터 게임머신 1. 안드로이드 OS 올려서 사용아이들을 위해 직관성 좋은 안드로이드로 유투브, 안드로이드용 구글플레이 게임앱, 간단한 인터넷 등을 할수 있게 한다.remix OS : 생각했던것 보다 요구사양이..
랜선 1줄을 2회선으로 나눠쓰기. 장점 : 사정상 한줄밖에 못가는데 랜선이 2줄이 필요할때. 목적지로 갔다가 다시 돌아와야 될때.단점 : 최대속도 100mbps(라는데..500mbps까진 문제 없음). 즉, 기가급 사용 불가, 통신품질 떨어짐. 집에서 사용하는 인터넷 기기가 점점 많아지면서 전문 지식 없이도 랜선(UTP케이블)과 랜툴을 인터넷에서 쉽게 구입해서 필요한 길이만큼 잘라서 집에서 직접 랜선을 만들어 쓰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일반적인 랜선 만드는 방법은 인터넷에서 쉽게 나와 있는데.. 1줄로 2회선 만드는 방법을 기사님들은 거의 다 아는 방법임에도 불구하고 인터넷에서 쉽게 찾아보기 힘들다...오히려 이런게 있다는것 조차 모르는 사람들이 많다. 어짜피 집에 들어오는 회선이 100mbps이던가....
공유기/네트워크 개념 및 용어 홈게이트웨이벽에서 나오는 인터넷선이 최초로 들어가는 기계. 단자함 같은데 숨어 있는 경우도 있어 잘 찾아 봐야함.각 방 또는 거실에서 나오는 인터넷선(랜선)이 TV나 각 컴퓨터에 바로 꽂히면 단자함이나 어딘가에 숨어 있는것임.대부분의 경우 네트워크사업자(KT, SK, LG 등..)의 인터넷 브랜드 로고가 찍혀 있으며, 공유기로서의 역할을 한다. 공유기, 인터넷공유기, 유무선공유기하나의 인터넷을 여러 인터넷 장치(TV, PC, 노트북, NAS 등)에서 쓸수 있도록 나눠주는 장비. 일반적으로 장비 뒤쪽에 전원 아답터 연결부 외에 랜선(UTP케이블)을 꽂을수 있는 부위가 WAN이라고 써있는 색깔이 다른 포트 1개와 1~4까지 4개의 LAN포트가 있다. WAN포트는 장비로 들어가는..
- Total
- Today
- Yesterday
- 버튼LED
- 샷건
- 총포소지허가
- 레트로게임기
- 라우터
- 엽총
- 빠샤빠샤
- 한자급수
- 클레이
- rj45
- 수렵면허
- 셋탑박스
- LED DIY
- 넷북
- 허브모드
- DMZ
- 비시바시콘
- 무선멀티브리지
- 기가비트
- OMV
- 원격관리
- 홈네트워크
- 홈게이트웨이
- 멀티무선네트워크
- 산탄총
- 스위칭허브
- 유아전동차
- xpenology
- UTP
- 기가인터넷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